요즘 아파트 분양이 정말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아파트 청약을 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바로 '청약 저축 통장'입니다. 청약 저축의 통장별로 지원할 수 있는 주택이 다르고 또 면적의 제한도 있기 때문에 아파트 분양을 꿈꾸고 있는 분들이라면, 가장 먼저 청약 통장에 대해 알아보시고 지원하시는 게 좋습니다.
청약 통장의 종류
- 청약저축
- 청약예금
- 청약부금
- 주택청약종합저축
-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2018년 7월 31일 출시)
국민주택, 민영주택 같은 주택의 종류와 면적에 따라 다르게 사용이 되었으며, 2015년 9월 1일부터 주택청약종합저축을 제외한 청약저축, 청약예금, 청약부금은 신규 가입이 중단되었습니다.
현재 가입이 가능한 청약 통장의 종류는 주택청약종합저축과 청년 우대형 청약 통장입니다.
청약 저축
청약 저축은 전용 85㎡ 이하 규모인 국민주택 청약이나 임대를 신청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통장입니다.
국민 주택 기금의 지원을 받아 짓는 민영아파트나 (LH, SH, GH) 같은 주택공사 도시개발공사가 공급하는 아파트가 이에 해당됩니다. 납입 방법은 매월 2만 원 ~ 50만 원 이내까지 자유롭게 납입하면 되지만 국민주택은 월 납입금이 10만 원까지 인정되므로 그 이상을 납입할 필요는 없습니다. 가입 후 2년이 경과하고 월 납입금이 연체 없이 24회 이상 납입이 되었으면 1순위 조건이 됩니다. 또한 납입금액이 청약예금의 지역, 면적별 예치금액 이상인 계좌인 경우 청약 예금으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청약 예금
청약 예금은 래미안, 자이, 힐스테이트, 이 편한 세상 같은 민간 브랜드 아파트 즉, 민간 건설업체가 짓는 민영주택을 청약하기 위해 준비하는 청약 통장입니다. 모든 면적이 청약 가능하며, 지역과 면적에 따라 예치하는 금액이 다릅니다.
납입 금액을 매월 납입이 아닌 일시불로 납입하는 방식이며 6개월이 지나면 2순위, 2년이 지나면 1순위 청약자격이 주어집니다. 예치금액은 내가 청약하려는 아파트의 지역이 아닌 통장 가입자의 거주지 기준으로 진행됩니다.
청약 부금
청약 부금은 청약예금처럼 민영주택을 청약하기 위한 통장입니다. 하지만 모든 면적이 아닌 전용 85㎡ 이하에만 청약이 가능합니다. 단, 민영주택 2순위에 청약 시에는 예치금에 상관없이 모든 주택 규모의 청약이 가능합니다.
목돈을 일시불로 납입하는 것이 아니라, 매월 5만 원 ~ 50만 원 이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는 방식의 통장입니다.
주택청약 종합저축
주택청약 종합저축은 앞서 안내해 드린 (청약저축, 청약예금, 청약부금) 3가지 통장의 기능을 합친 통장입니다.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모두 청약 신청이 가능하며 면적에 대한 제한도 없습니다. 또한 가입 연령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누구나 가입이 가능하며, 매월 2만 원부터 50만 원까지 납입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매월 약정한 날에 적금처럼 납입이 가능하며 한 번에 목돈을 미납한 만큼 분할하여 납입도 가능합니다. 현재 시중 금융기관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상품입니다.
청년 우대형 청약 통장
청년 우대형 청약 통장은, 청년층이 주택을 구입하기 위한 목돈을 마련하는 것을 돕기 위한 상품으로 2018년 7월 31일 새롭게 출시된 저축 상품입니다. 청약의 기능은 유지하면서 금리와 비과세 혜택까지 제공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 가입대상 : 만 19세 이상 ~ 34세 이하의 청년
- 소득기준 : 연 3천만 원 이하의 소득
- 주택 여부 : 무주택자 세대주
- 병역기간 : 최대 6년
- 납입방식 : 주택청약종합저축과 같은 방식
청년 우대형 청약 통장은 납입 방식이 주택 청약 종합저축과 같은 방식으로 월 2만 원에서 50만 원까지 납입이 가능하지만, 가입 기간 10년까지 주택청약종합저축보다 1.5% P 금리가 높게 적용됩니다. 그리고 이자 소득 5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도 제공되며, 연간 240만 원 내에서 40% 소득공제의 혜택도 누릴 수 있습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을 했더라도 청년 우대형 청약 통장의 대상자 자격에 해당된다면, 전환 또한 가능합니다.
내 집 마련하기 위해 조금씩 관심을 갖기 시작하셨다면, 현재 필요한 청약 통장이 어떠한 것인지부터 알아보시고 꾸준히 납입하셔서 청약을 넣으실 때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댓글